티스토리 뷰
진에어 수하물 규정
여행이란 말은 그 단어자체가 주는 행복감도 큰 것 같아요.
어떤 기대와 설레임을 갖게하기 때문인데요. 처음으로 비행기를 타고 나가는 여행이라면 더 의미 있고 즐거움이 가득할 것 같아요.
하지만 비행기를 처음 타다보면 모르는 것들도 있고 하실텐데요. 처음이 아니더라 해도 수화물 규정같은건 잘 잊어버릴 수 있기 때문에 비행기 탑승전 한번쯤 확인해 보시는 것이 좋은 것 같습니다.
오늘은 진에어 수하물(수화물) 규정 을 한번 알아보도록 할께요.
먼저 휴대 할수 있는 수하물과 무료수하물 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텐데요.
삼면의 합이 115cm내, 중량 12kg 이하인 수하물1개 및 노트북 컴퓨터, 서류가방 핸드백은 무료로 휴대하실 수 있습니다. 비행을 하면서 꼭 필요한 물품들은 가방에 따로 휴대할 수 있도록 해주시면 됩니다. 기내로 반송이 되는 물품이 있고 안되는 물품이 있으니 그 부분은 뒷부분에서 참고 해주시면 됩니다.
국내선과 동남아/일본/홍콩/마타오/대만은 15kg까지 무료로 수하물을 허용하며 중국은 20kg 미주는 각 23kg 이하 2개, 호주는 23kg이하 1개의 무료 수하물을 허용합니다. 개수나 무게를 초과했을 경우에는 초과요금이 발생하게 됩니다.
또 2세 미만의 유아는 유모차나 유아용카시트도 무료 수하물로 허용하니 참고해주세요.
다음은 스포츠 장비 규정과 수하물 표장용품 가격 안내입니다.
스포츠 장비는 개당 기본요금을 징수하고 수하물 허용량 초과시는 초과 수하믈 요금을 징수하는데 단, 골프백은 무료 수하물 허용량을 적용하고 무료 수하물 허용량 초과시 일반 수하무과 동일하게 초과 수하물 요금을 징수합니다.
스포츠 장비 운송시 무게와 삼면의 합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위탁 수하물 접수가 불가하니 유의해주셔야 하며, 전용케이스와 개별포장 후에 접수를 해주셔야 파손에 대한 보상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수하물을 포장할 수 있는 비닐은 공항 카운터에서 구매가 가능하고 국내선에서는 기내반입용 애왕동물 케이스를 구매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운송 제한 품목입니다.
운송 금지 품목 [기내 X, 수하물 X]
아래의 제한 품목은 기내 반입이나 수하물로 맡기는 것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 화약류, 폭죽 등 폭발물류
• 인화성 가스, 액체 및 70% 이상의 알코올성 음료 등 인화성 물질
• 방사성·전염성·독성 물질
• 소화기, 최루가스 등 기타 위험물질
• 드라이 아이스 (보냉제 목적의 드라이아이스는 항공사 승인 하 1인당 2.5kg 까지 운송 가능합니다.)
• 리튬배터리 장착 전동보드
※ 에어휠, 솔로휠, 호버보드, 밸런스휠, 전동스쿠터, 미니세그웨이 등
기내 반입 제한 품목 [기내 X, 수하물 O]
무기로 사용되어 타 고객에게 위해를 가할 수 있는 품목은 휴대하고 탑승하실 수 없으며, 위탁수하물에 넣어 탁송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과도, 커터칼 등 창/도검류
• 골프채, 아령 등 스포츠용품류
• 모든 총기류
• 수갑, 호신용 스프레이 등 무술호신용품
• 도끼, 망치, 송곳 등 공구류
• 국제선 객실내 액체류 반입 기준
국제선 항공기 이용시, 물·음료·식품·화장품 등 액체·분무(스프레이)·겔류 (젤 또는 크림)로 된 물품은 100㎖ 이하의 개별용기에 담아 1인당 1ℓ 투명 비닐지퍼백 1개에 한해 반입이 가능하며, 유아식 및 의약품 등은 항공여정에 필요한 용량에 한하여 반입이 허용됩니다.
운송이 가능한 품목
다음과 같은 물품은 제한적으로 기내 및 위탁수하물로의 반입이 가능합니다.
• 생활도구류
• 액체류 위생용품·욕실용품·의약품류
• 의료장비 및 보행 보조도구
• 건전지 및 개인용 휴대 전자장비
위탁 수하물 탁송 제한 품목 [기내O, 수하물X]
아래의 제한 품목은 수하물로 맡기는 것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 다음 물품의 운송 도중 발생한 파손, 분실 및 인도 지연에 대하여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으며, 필요시 직접 휴대 하시기 바랍니다. (노트북 컴퓨터, 핸드폰, 캠코더, 카메라, MP3 등 고가의 개인 전자제품, 화폐, 보석류, 귀금속류, 유가증권류, 기타 고가품, 견본류, 서류, 파손되기 쉬운 물품 등)
• 기내 및 여행지에서 복용해야 하는 의약품
• 전자담배(e-cigaretters)는 화재의 위험이 있으니, 반드시 휴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전자담배의 기내 충전 및 흡연은 엄격히 금지됩니다.
다음은 진에어 리튬 배터리 반입에 관한 규정입니다. 여행을 떠나기 전 꼭 참고 하시어 허용한도를 넘기지 않도록 짐을 꾸릴 수 있도록 해야겠습니다. 업무 목적으로 반드시 필요할 경우에는 증빙자료를 제출하면 가능하다고 합니다.
다음은 무료 수하물 허용량을 초과한 경우 지불하게 되는 요금표 입니다. 나라와 지역에 따라서 개수초과나 1kg당 초과할 경우 추가 금액이 달라지니 가시는 지역에 해당하는 곳을 확인해 주시길 바랍니다.
다음은 수하물 배상에 관한 사항들입니다.
진에어는 회사의 고의 또는 과실로 위탁수하물에 파손, 분실 등의 손해가 발생한 경우에 한하여 보상 책임을 집니다. 이용 구간에 따라 몬트리올 협약이 적용되는 운송의 경우 해당 협약이, 그 이외 구간에는 바르샤바 협약이 적용됩니다.
승객이 사전에 상기 책임 한도보다 높은 가격을 신고하고 종가 요금을 지불한 경우에는 진에어의 책임 한도는 신고 가격을 근거로 합니다.
수하물 지연은 21일 이내에, 수하물 파손 또는 내용품 분실은 7일 이내 항공사에 서면으로 신고하셔야 하며, 출발지에서 탑승 수속 시 받으신 승객 본인 가방의 수하물 영수표를 제출해야 합니다.
보상 불가 물품
아래와 같은 물품에 대해서는 운송 도중 발생한 파손이나 분실, 지연, 혹은 그로 인한 여하한 손해에 대해서 이용 구간에 따라 보상에서 제외되거나, 제한된 보상이 실시됩니다.
• 진에어가 손해 방지를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하였거나, 불가항력적인 사유로 인하여 조치가 불가능했음이 입증될 경우
• 일상적인 수하물 취급과정에서 발생하는 경미한 긁힘, 마모, 눌림, 흠집, 얼룩 등
• 고객에 의한 사고 또는 과실로 손해가 발생한 경우
• 너무 무겁거나 가방 용량에 비해 무리하게 내용품을 넣은 경우
• 액체류(화장품, 꿀, 술 등)의 파손 및 이로 인한 내용물의 오염 및 파손
• 하드케이스(전용 포장용기)에 넣지 않은 스포츠 용품 및 위탁수하물로 접수된 악기류
• 보안검색 과정에서 X-RAY 통과로 인한 필름 손상
아래 물품은 위탁수하물로 접수가 불가능하며 휴대수하물로 운송되어야 합니다.
• 노트북 컴퓨터, 휴대전화, 캠코더, 카메라, MP3 등 고가의 전자제품 또는 그 데이터
• 화폐, 보석류, 은제품, 유가증권, 계약서, 논문과 같은 서류, 여권, 신분증, 견본(샘플), 골동품 등 가치를 따지기 어려운 귀중한 물건
• 명품 선글라스, 가방, 시계, 의류 등의 고가품
• 건강과 관련된 의약품
• 파손되기 쉬운 물품이거나 부패하기 쉬운 물품
다음은 기내유실물에 관한 안내사항입니다.
• 기내에서 발견된 물품은 도착지 공항에서 보관하고 있습니다.
• 면세품 및 반출불가 물품은 세관으로 인계됩니다.
• 습득 후 14일 이내에 찾아가지 않으신 물품은 폐기하오니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부패가 예상되는 물품은 수시로 폐기합니다.)
• 기내에 두고 내리신 물품 외, 공항시설 또는 공항 이동 중 분실한 물품은 해당 공항의 유실물센터에서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보다 자세한 사항은 고객서비스센터 1600-6200 또는 각 공항지점으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각 공항 유실물 센터 안내
ㅇ 인천공항 032-741-3114
ㅇ 김포공항 02-2660-4097
ㅇ 제주공항 064-797-2521
ㅇ 부산공항 051-974-3776
ㅇ 청주공항 043-210-6326
이렇게 진에어 수하물(수화물) 규정 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꼼꼼히 잘 확인하시어 여행에 차질이 없도록 잘 챙겨가시길 바랍니다. 진심으로 즐거운 여행이 되시기를 바라며 이상으로 진에어 수하물(수화물) 규정에 관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정보마켓'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에 가스 차는 이유와 해결법/배 가스 빼는 자세/배에 가스 찼을 때 (0) | 2017.02.27 |
---|---|
코끼리꿈 해몽/ 코끼리 타고가는 꿈 (0) | 2017.02.27 |
목욕하는꿈 해몽 (0) | 2017.02.26 |
쏘카 이용법/쏘카 나이제한/쏘카 페널티 (0) | 2017.02.25 |
오래달리기 호흡법 으로 마라톤 완주까지 (0) | 2017.02.25 |